중산층 기준, 대한민국 중산층 기준, 순자산 뜻, 순자산 10억
- Money study
- 2024. 3. 11.
중산층 기준, 대한민국 중산층 기준, 순자산 뜻, 순자산 10억
우리나라 중산층이라면, 어느 정도 재산이 있어야할까에 대한 궁금함을 한 번쯤은 가져보았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가구의 자산은 평균 5억 4천 7백만원, 이 중 금융재산은 1억 2천만원이다. 여기에서 실물자산과 금융자산의 의미를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금융자산은 적금, 예금 같은 은행에 있는 돈, 그리고 주식투자, 개인연금이라 볼 수 있다. 실물자산은 아파트, 빌라, 상가, 토지 등의 부동산 그리고 금, 은 같은 실체가 있는 자산을 말한다. 보통 우리나라의 경우 부동산 비율이 압도적이기 때문에 실물자산을 부동산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가구 자산 평균을 비율로 나타내면, 은행에 있는 돈과 주식과 같은 금융자산 금액이 자산의 22%이고, 부동산의 비율은 78%로 볼 수있다. 즉, 우리나라 가구 대부분이 자산을 부동산으로 소유하고 있다는 뜻이다.
순자산 뜻
여기에서 자산에서 부채를 빼주면 진짜 갖고 있는 내 돈이 순자산으로 볼 수 있다. 대한민국 평균가구의 순자산은 4억 5천 6백만원인데, 그렇다면 순자산이 4억 5천 6백만원 보다 적으면 대한민국 평균 아래인지 따져보면 그렇지 않다.
이유는 4억 5천이라는 금액은 말 그대로 평균이라 볼 수 있다. 돈이 하나도 없는 사람들과 정말 돈이 많은 재벌 모두를 모아평균을 계산했기 때문에 이 금액이 나온다. 때문에 순자산 구간별 가구 분포를 보면 중앙값이 2억 4천 6백만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만약 순자산이 2억 4천 6백만원 이상이라면 그래도 대한민국에서 중간이다 생각하면 되겠다.
순자산 10억
유튜브 등에서 여러 방송을 보면, 10억 벌 수 있다고 쉽게 말하는데 실제 통계를 보면 순자산이 10억 이상인 가구는 11.4% 정도 뿐이다. 즉, 10억이라는 수치가 결코 만만한 숫자가 아니며 실제로 순자산 1억도 되지 않는 집이 29.5%, 3억이 채 되지 않는 집이 전체가구의 55.7%이다.
![](https://blog.kakaocdn.net/dn/QktGf/btsFE5A1lij/wCCPvkemAhM9wJl1ZXEiHK/img.png)
소득으로 보면 연 5천만원을 버는 집이 대한민국 국민의 중앙값이라 볼 수 있다. 그러니까 1년에 5천만원 이상 벌고 계시다면 평균 이상이라고 볼 수 있으며, 연 1억을 넘게 버는 가정은 17.8%다.
위 내용은 전국민을 대상으로한 통계이며,
20대 순자산 8,400만원
30대 순자산 3억
40대는 4억 7천만원
50대는 5억 3천만원
60대는 4억 8천만원
위 내용이 순자산 평균이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것은 30대의 순자산 증가는 3.9% 수준이라 물가 상승률에도 미치지 못하는데 비해 50대의 순자산 증가 무려 14.6%로 나온다. 연령대별 자산 보유액을 보면 현재 50대 이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오는데 50대 이상의 자산 유형을 분석해보면 저축액 보다는 거주주택, 그리고 투자한 부동산의 자산이 압도적이다.
결국 우리나라에서 대한민국 국민들은 부동산으로 자산을 늘려가고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부자 동네
자산 평균 기준으로 평균 이상인 지역은 서울, 세종, 경기, 제주, 순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잘 사는 사람들은 이 네 지역에 제일 많이 분포되어 있다라고 볼 수 있으며, 서울과 세종은 거의 똑같은 소득 기준이고, 고소득자는 세종, 경기, 서울, 울산, 대전 순으로 분포하고 있다.
KB 한국 부자보고서를 보면 금융자산 10억 이상인 사람을 부자로 보고 조사했다. 금융자산 10억 이상인 사람들은 수도권에 70% 이상 거주하고 있다.
대한민국 수저계급
대한민국 상위 1% 금수저 29억 2천만원, 대략 30억
순자산 상위 10% 동수저
nh투자증권에서 발표한 대한민국 상위 1% 보고서에서는 중산층을 순자산 4억원 이상
부를 분석한 자료에 의하면 금융자산 10억 이상을 부자라고 하고 있다. 대한민국 1% 상위 부자는 순자산으로 29억 2천만원을 갖고 있으며 대략 30억이 있으면 대한민국 상위 1%라고 볼 수 있다. 대한민국 0.1%는 76억 8천만원, 그리고 대한민국 상위 1% 부자들은 50대 이상이 전체 90%인 반면에 40대 이하의 젊은 부자의 비율은 10% 정도다.
상위 1% 가구의 자산 구성을 보면 여기서도 역시 투자한 부동산이 48%, 그리고 거주주택이 30%로 총 78%가 부동산 자산이다.
중산층 기준
중산층이라고 부를 수 있는 순자산은 4억이며, 그리고 대한민국에서 중간이라 말할 수 있는 금액은 2억 5천이다. 대한민국 상위 1% 금수저는 30억은 있어야 되고요 70억이 있으면 우리나라 탑티어 상위 0.1%다. 기회의 평등을 주는 시스템이 자본주의 임을 잊지 않고, 몇 억 무슨 수저를 떠나서 이와 같은 자료는 참고는 하되 낙심하지 말 것.
아래 포스팅은 30대 순자산, 금융자산, 관련 포스팅입니다. 연령별 순자산에 대해 궁금하다면 참고가 될만합니다.
30대 순자산, 가구당 순자산, 금융자산 10억, 순자산 10억, 순자산 상위, 순자산 50억
30대 순자산, 가구당 순자산, 금융자산 10억, 순자산 10억, 순자산 상위, 순자산 50억 일제시대 해방을 거쳐 신분제는 폐지되고, 625 전쟁을 겪으면서 그마저 남은 모든 것이 해체 되었다고 하지만
soulfood-dish.tistory.com
'Money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딤씨앗통장, 디딤씨앗통장 만기, 디딤씨앗통장 신청 (0) | 2024.06.03 |
---|---|
일본 주식시장, 엔저현상, 엔화 예금, 엔화가격, 일본 전기차 (0) | 2023.07.19 |
우리나라 부자순위, 한국재벌순위, 카카오 김범수, 셀트리온 서정진, 현대 정몽구, 홍라희, 홍라희 미술관 (0) | 2023.04.04 |
2021년 종합부동산세, 2주택자 종부세, 부부공동명의 종부세 (0) | 2021.08.17 |
코로나 재난지원금, 5차 재난지원금 전국민, 5차 재난지원금 지급시기 (0) | 2021.06.15 |